ERP는 대부분 알고 계시거나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해본 적이 있을 것 같습니다.
그러면 ERP의 기능 중 우리가 어떤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?
건설 ERP를 예를 들어 본다면, 건설 업무는 계약, 기성, 실행, 투입, 자재 ,리포트 순서로 진행 되기 때문에 이 업무의 흐름이 ERP 메인 화면에 항상 부각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.
건설 ERP는 건설업 업무의 흐름인 계약, 기성, 실행, 투입, 자재, 리포트 순서가 잘 부각되도록 UI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.

위 그림을 보면 건설 ERP 답게 작업의 흐름이 잘 표시되어 있고, 어느 경로에 있던지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일관적인 사용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.
그 다음에 중요한 것이 뭘까?
ERP는 본사 뿐 아니라 현장에서도 잘 활용하기 위해 만든 도구이다.
따라서 현장 구성원들의 업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 즉 컨텐츠가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.
예를들어, 현장의 일용직 근무자들의 잦은 퇴직과 관련하여 퇴직금 관리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면 현장에서는 많은 활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.
현장 관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컨텐츠가 많이 구성되어야 ERP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.

위 이미지를 보면 퇴직금 관리 메뉴 하위에 대상자 조회 및 지급 현황 이라는 하위 메뉴가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.
이러한 메뉴들을 통해 현장 관리자들과 본사 관리자들 간의 업무 소통이 일어나게 되고, ERP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 된다.
세번째로 중요한 것은 업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 포함되고 있는지 여부이다.
예를들어 종이로 작성하던 근로계약서를 휴대폰 또는 PC로 작성하게 할 수 있다.
ERP의 장점은 이러한 연관 기능의 확장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.
근로계약서를 온라인화 하면 근로계약서와 관련된 많은 부가기능들도 함께 연동될 수 있다.
ERP의 장점은 이러한 연관 기능의 확장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

현장에서는 하루에도 수천 수만장의 종이가 업무에 사용되며 이 중 대부분은 바로 폐기된다.
이러한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ERP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며,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.
또한, 본사의 업무인 본사 투입비, 자재비 등의 내용과, 현장의 업무인 현장 투입비, 도급내역, 타워크레인 등으로 구분하여 투입비는 본사에서 입력하는 본사투입비와 자재비, 현장에서 입력하는 현장투입비가 있습니다. 투입비 작성 외 작업내용도 작성하여 투입비 분석을 할 수 있다.
업무담당
- 입력, 수정, 검토, 승인
구분  | 업무내용  | 현장  | 본사  | |||
공무  | PM  | 재경  | 공무  | 기술  | ||
계약 
 
  | 계약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
변경계약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|
기타계약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|
기성 
  | 기성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
기타기성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|
실행 
  | 실행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
변경실행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검토  | 
  | |
투입 
 
 
 
 
 
 
 
 
 
  | 본사투입 등록  | 검토  | 
  | 입력  | 
  | 
  | 
세금계산서투입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전도금투입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노무비투입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직영작업내용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타워크레인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타워크레인 작업내용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시공내용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시공내역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시공수량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직영노임 등록  | 입력  | 
  | 
  | 
  | 
  | |
리포트 
 
 
 
 
 
 
 
  | 공사원가 투입현황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검토  | 
기성노임 청구서  | 입력  | 승인  | 검토  | 검토  | 
  | |
직영노임 내역서  | 입력  | 승인  | 검토  | 검토  | 
  | |
직영작업 내용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운영경비 내역  | 입력  | 승인  | 검토  | 검토  | 
  | |
전도금 리스트  | 입력  | 승인  | 검토  | 검토  | 
  | |
형틀 분석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철근 분석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도급노임산출 내역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리포트 
 
 
 
  | 자재투입현황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검토  | 
세금계산서 집계표  | 입력  | 
  | 검토  | 
  | 
  | |
타워크레인 일지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기성/예상투입 현황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자금청구서 검토사항  | 입력  | 승인  | 
  | 검토  | 
  | |
ERP의 작성 목적은 계약금액, 실행금액, 투입금액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항목별 분류코드를 넣어 수량 또는 금액비교를 하고, 수량여부는 공종별 기준단위의 단가를 산출하기위한 분류코드로 계약 분석에서 작성된다.
또한, 분류코드는 [대분류 : 직접비/간접비], [중분류 : 노무비/재료비], [소분류 : 공종]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. 계약내역, 실행내역, 투입내역에 분류코드를 넣어 금액을 비교 할 수 있다.
계계약 업무
